Mean Reversion + Momentum 암호화폐 전략

2025. 1. 12. 18:05투자

직전 년도에 찾아 지금까지 돌리고 있는 전략입니다.

Reversion과 Momentum은 같이 돌렸을 때 서로의 변동성을 감쇠시켜 좋은 시너지를 내는 팩터들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책을 참고하세요. 안티 일마넨 - 과거의 검증, 미래의 투자(AQR)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2693597

 

과거의 검증, 미래의 투자 - 예스24

1926년부터 현재까지 100년의 투자 데이터로 보는과거의 투자 성과, 그리고 미래를 대비하는 투자법미래의 투자 환경은 어떻게 될까? 그간 투자의 역사에서 가장 성과가 좋았던 자산군과 투자 전

www.yes24.com

 

대상 유니버스는 이전 전략들과 동일하게 binance futures 300여개 종목입니다.

Mean Reversion 전략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급락하는 종목을 구매하여 평균회귀를 기다려 파는 것입니다.

특히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fundamental이라는 것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규모 종목일수록 아무 이유없는 급격한 가격변동이 일어나곤 합니다. 엄청난 가격 하락이 일어난 찰나에 구매하여 가격이 평균가로 회귀했을 때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로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수: 5분봉 기준으로 최근 1일치 EMA보다 20%이상 하락 시 

매도: 구매 후 1일 경과 시 판매

아래는 Freqtrade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시드를 100개로 나누고, 레버리지 2배를 했을 때의 2024년도 백테스트 결과입니다. 2020~2024까지 꾸준한 성과를 내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Win rate 73%, MDD 9%, Sharpe 19입니다.

2024년이 좀 성과가 좋고, 2022년은 수익이 8% 정도로 적지만 적어도 손해는 나지않았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클라우드에 올려 돌려보고 있었는데, 가격 정보 수신과 실제 거래 체결 사이의 delay 때문에 원하던 만큼의 수익이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12:00에 갑자기 특정 코인의 가격이 20% 하락하고 서서히 회복하기 시작해 12:05에 원 가격에 다시 도달했다고 가정합시다.

실제 log를 보니

12:01 가격 정보 수신

12:02~04 300여개 각각 종목에 대한 계산 후 매수 signal 발견

12:03~12:06 market price로 거래 체결

거의 원상태로 복귀한 뒤에 거래를 체결하여, 손해를 보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투자 대상 종목을 확 줄이고, 100개로 나누던 seed도 50개로, 30%, 40%, 50% 하락마다 추가 자본을 투자하던 로직도 고쳐 20% 하락시 단일 매수로 바꾼 상황입니다.

 

다음은 Momentum 전략입니다.

예전에 포스팅 한대로 여러 논문들을 보고 최근 2주일/1개월/6개월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을 매수하여 1주일/2주일 보유 후 판매하는 전략을 실험해 보았지만, large cap에서만 적용가능하고, small cap에서는 momentum 보다 reversion 경향이 더 커서 원하는 수익률을 얻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다 market cap 기준 상위 20개 종목을 대상으로한 모멘텀 전략의 성능이 잘 나오는 것을 관측, 구현하였습니다. Quantopian인가에서 발견한 전략인데, 원래는 30일 저가를 하향 돌파하거나, 30일 고가를 상향 돌파한 종목들을 매수하는 내용이지만, 30일 저가 하향돌파의 경우는 성능이 잘 나오지 않았습니다.

로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수: 비트코인 가격이 EMA180보다 위에 있을 때, 대상 종목이 최근 30일 고가 돌파 시 매수

매도: 1주일 보유 후 매도

샤프 1.1, CAGR 36%, Winrate 50%, MDD 18%로, 추세추종 전략치고는 굉장히 괜찮은 수익을 냅니다. 하락장인 22년도 수익도 비트가 EMA180보다 아래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투자를 막아주어 1%의 수익을 냈습니다.

물론 대상 코인들의 buy and hold가 464% 수익을 안겨주어 절대수익으로는 반절정도 밖에 안되지만, MDD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처음에 Mean Reversion으로 시작하여 각종 indicator들도 사용해보고 price filter, 재진입 방지 등 여러가지 parameter로 실험해 보았는데, 역시 간단한 것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

다른 수익성있는 전략들을 찾기 위해 여러가지 quantconnect를 비롯하여 사이트들을 모조리 뒤져 하나하나 backtest를 해보았고, 그러면서 찾은 momentum 전략이 mean reversion과 상보적으로 작용하여 portfolio value를 보존해주는 것이 정말 보기 좋았습니다.

퀀트 투자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다시 한번 위에 소개한 책, AQR 소속 리서쳐가 저술한 '과거의 검증, 미래의 투자'를 읽어보시기를 강추드립니다. 오늘 소개한 Event driven 전략에 직접적으로 관련은 없지만, 정말 투자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들어있는 좋은 책입니다.